AWS 9

[AWS] EC2 서버 port 설정하기

port 설정 # 주소창에서 EC2 포트번호 입력 안해도 접속 가능 # 포트 번호는 서버 포트로 입력하면 되며, 본문에선 4000을 DB서버 포트로 사용한다 sudo iptables -t nat -A PREROUTING -i eth0 -p tcp --dport 80 -j REDIRECT --to-port 4000 설정 된 규칙 확인 # iptables 규칙 확인 sudo iptables -t nat -L --line-numbers 규칙 삭제 # 규칙 확인 명령어로 규칙의 줄 번호(num)를 확인 한 뒤 기존 규칙 삭제 sudo iptables -t nat -D PREROUTING 1 재 등록은 맨 위 명령어 다시 하면 됨

AWS 2024.03.15

[AWS] IAM 생성 하기, OTP 등록하기

IAM 생성하기 1. AWS에서 IAM 검색 2. IAM은 글로벌 서비스로 리전 변경이 불가능 3. Users 만들기 4. 사용자 이름 설정 후 엑세스 권한 제공 체크 체크하지 않을 경우 API를 활용해서 엑세스 하는 것만 가능 체크 할 경우 WEB에서 접근 할 수 있는 계정으로 생성됨 다음 로그인 시 새 암호를 생성하는 것은 해당 계정 최초 로그인 시 패스워드를 재설정 하는 것을 말함 5. 그룹에 사용자 추가 선택 후 그룹 생성 6. 그룹 이름 작성 후 부여할 권한 선택 사진에 선택된 권한은 모든 권한을 부여하는 관리자 권한 AWS에서 권한 템플릿을 제공해주므로 상세설정 또한 가능Ex. 특정 서비스(EC2 등)의 읽기 권한만 부여 등 7. 만든 그룹 선택 후 다음 클릭 8. 올바르게 설정했는지 확인 후..

AWS 2024.03.15

[AWS] S3 이미지 저장소 버킷 생성/업로드

1. AWS S3 버킷 생성하기 퍼블릭 액세스 차단 설정 싹 다 풀어도 될 듯 잠깐 쓸거라서 버킷 생성 버킷 생성확인 2. 파일 업로드 해보기 일단 패키지에 라이브러리 추가 yarn add aws-sdk yarn add multer-s yarn add multer-s3@2 s3사용을 위한 config.js 생성 import aws from "aws-sdk"; import dotenv from "dotenv"; dotenv.config(); const s3 = new aws.S3({ region: process.env.S3_REGION, accessKeyId: process.env.S3_ACCESS_KEY_ID, secretAccessKey: process.env.S3_SECRET_ACCESS_KEY, }..

AWS 2023.11.22

[AWS] EC2에 .env 환경 변수 파일 생성

.env에 mongodb를 사용하기 위한 내용 입력 하여 사용 .gitignore .env 가 있기 때문에 git에 올라가지는 않는다. 그럼 ec2에서 git pull을 받았을 때 .env 파일이 당연히 없겠고 생성해서 사용해야함 git pull 받은 폴더 안에 .env 파일 생성 명령어 입력 vim .env 로컬에서 사용중인 .env 내용을 입력하고 ESC를 누른다. :wq 입력하면 작성 완료 (w쓰다 q나간다) 잘 써졌는지 확인 하기 cat .env 이후 실행 시키면 .env파일안의 아이디 비번을 이용하여 몽고db 연결이 잘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AWS 2023.11.06